회사에서 점이 찍힌 숫자들을 받고서
"네트워크 연결하세요"
IP 정도만 알았지
서브넷 마스크, 게이트웨이, DNS?
이 기회에 싹 다 정리해보려고 한다
IP 주소
아주 기본적인 개념 정도만 정리했고, 먼저 훑어보고 시작하는 것을 추천
https://kairosial.tistory.com/10
IP 주소 (Internet Protocol address, IP address) :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서로를 인식하고 통신하기 위해 사용하는 네트워크 상의 주소;
컴퓨터가 연결된 네트워크 끝단의 주소;
기기가 인터넷에 접속한 곳의 네트워크 상의 위치
IP는 사실 32자리로 이루어진 2진수
"192.168.123.456" 은 사람이 보기 편하게 10진수로 표현한 것 뿐이고
"11000000.10101000.11110111.11001000" 컴퓨터는 이렇게 2진수로 인식함
이런 형태는 사람이 이해하고 외우기 어렵기에 10진수로 표현하는 것
위의 IP에서 하나의 10진수 "192" 는 8자리의 2진수 "11000000" 로 대체됨
즉, IP 주소는 32개의 비트, 4개의 블럭으로 구성됨
네트워크 ID, 호스트 ID
네트워크 ID : 하나의 그룹으로 호스트들을 관리하기 위해 네트워크의 범위를 지정하여 관리하기 쉽게 만든 것
호스트 ID : 호스트들을 개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
우리가 인터넷을 사용할 때는
네트워크 ID + 호스트 ID = IP 주소
네트워크 ID가 같다는 의미는 같은 네트워크 상에 있따는 의미로 자유롭게 통신을 할 수 있음
하나의 네트워크 안에는 여러 기기들이 있을 수 있고
호스트 ID는 해당 네트워크에 속한 사용자에게 부여하는 고유의 번호
IP Class
A, B, C, D, E Class 로 나누어 네트워크 ID와 호스트 ID를 구분함
- A Class
처음 1개의 블럭(8비트)이 네트워크 ID / 나머지 3개의 블럭(24비트)이 호스트 ID
가장 왼쪽 비트가 0으로 고정되어 시작(2진수로 0*******.***~)하기 때문에 첫 블럭을 0에서 127까지 할당
네트워크 할당은 0 ~ 127 로 128곳에 가능하고 / 최대 호스트 수는 (256*256*256)-2=16,777,214개
- B Class
처음 2개의 블럭(16비트)이 네트워크 ID / 나머지 2개의 블럭(16비트)이 호스트 ID
가장 왼쪽 비트가 10으로 고정되어 시작(2진수로 10******.***~)하기 때문에 첫 블럭을 128에서 191까지 할당
네트워크 할당은 128.0 ~ 191.255 로 64*256=16,384곳에 가능하고 / 최대 호스트 수는 (256*256)-2=65,534개
- C Class
처음 3개의 블럭(24비트)이 네트워크 ID / 나머지 1개의 블럭(8비트)이 호스트 ID
가장 왼쪽 비트가 110으로 고정되어 시작(2진수로 110*****.***~)하기 때문에 첫 블럭을 192에서 223까지 할당
네트워크 할당은 192.0.0 ~ 223.255.255 로 32*256*255=2,097,152곳에 가능하고 / 최대 호스트 수는 256-2=254개
- D Class는 Multicast / E Class는 미래에 사용하기 위해 남겨둔 것으로, 실제 사용되는 Class는 A, B, C
(최대 호스트 수를 구할 때 2를 빼는 이유는 조금 뒤에 설명)
예를 들어, 192.168.123.***이라는 IP 주소가 있다면
처음 1개의 블럭이 192~223이므로, C Class에 속하는 IP 주소이고
앞자리가 192.168.123인 IP들은 같은 네트워크 상에 있다는 의미
위의 설명대로라면 A Class의 네트워크에는 약 1677만개의 호스트를 할당할 수 있지만
어떤 기관에서 필요한 IP의 개수가 8만개로 충분하다고 한다면 나머지 IP 주소는 낭비됨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브넷' 이라는 개념이 등장함
서브넷 마스크
서브넷 (Subnet) : 네트워크 안의 네트워크; 하나의 네트워크를 나누어 효율적으로 분배
서브넷 마스크 (Subnet Mask) : 네트워크 ID와 호스트 ID를 구분해주는 값
서브넷 마스크는 IP 주소와 마찬가지로 4개의 블럭(32비트)으로 구성되어 있고
2진수로 표현했을 때, 앞자리는 모두 1이고 뒷자리는 모두 0으로 구성
다음은 서브넷 마스크의 예시
- 11111111.00000000.00000000.00000000 = 255.0.0.0 (A Class 기본 서브넷 마스크)
- 11111111.11111111.00000000.00000000 = 255.255.0.0 (B Class 기본 서브넷 마스크)
- 11111111.11111111.11111111.00000000 = 255.255.255.0 (C Class 기본 서브넷 마스크)
- 11111111.11111111.11111111.11111000 = 255.255.255.248 (사용자가 설정한 서브넷 마스크)
IP 주소와 서브넷 마스크를 AND연산하면 네트워크 주소를 구할 수 있음
예를 들어
- IP 주소 : 115.95.229.196 → 01110011.01011111.11100101.11000100
- 서브넷 마스크 : 255.255.255.0 → 11111111.11111111.11111111.00000000
2진수를 AND연산하면
- 네트워크 주소 : 01110011.01011111.11100101.00000000 → 115.95.229.0
115.95.229.196는 A Class이지만
C Class 기본 서브넷 마스크를 씌우자
네트워크 주소가 115.95.229.0이 나왔다는 뜻은
A Class의 주소를 마치 C Class의 주소처럼 사용하겠다는 뜻
다시 말해,
A Class에서는 1번째 블럭이 네트워크 영역이고, 뒤에 2,3,4번째 블럭은 호스트 영역인데
C Class 기본 서브넷 마스크를 씌우면서
1,2,3번째 블럭까지 네트워크 영역이 되고, 뒤에 4번째 블럭이 호스트 영역이 된 것
이렇게 서브넷 마스크를 씌우고 나면 이제는 115.95.229로 시작하는 주소만을 같은 네트워크에 있다고 인식함
이 네트워크 상에서
사용 가능한 최대 호스트 수는
네트워크 주소 : 115.95.229.0
브로드캐스트 주소 : 115.95.229.255
두 가지를 제외하고 256-2=254개
네트워크 주소, 브로드캐스트 주소
네트워크 주소 : 하나의 네트워크를 나타내는 주소;
일반적으로 해당 네트워크의 처음 IP 주소를 이용해 표시
브로드캐스트 주소 : 특정 네트워크에 속하는 모든 호스트들이 듣게 되는 주소;
일반적으로 해당 네트워크의 마지막 IP 주소를 이용해 표시
위에서 설명한 IP 주소와 서브넷 마스크만 있으면 로컬 네트워크에서는 통신이 가능하지만
우리가 원하는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게이트웨이가 필요함
게이트웨이
게이트웨이 (Gateway) : 한 프로토콜을 다른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다른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
현재 사용자가 위치한 네트워크에서 다른 네트워크로 이동하기 위해 지나야 하는 관문
두 컴퓨터(노드)가 네트워크 상에서 서로 연결되려면 동일한 통신 프로토콜(통신규약)을 사용해야함
프로토콜이 다른 네트워크 상의 컴퓨터와 통신하려면 두 프로토콜을 적절히 변환해야 하는데
게이트웨이가 이 변환기의 역할을 함
자신의 컴퓨터에서 목적지 네트워크에 도달하기까지 여러 개의 게이트웨이를 거칠 수 있음
서울에서 부산까지 가는데 여러 개의 고속도로 톨게이트를 거치는 것과 유사
컴퓨터에 IP 주소를 할당하듯, 게이트웨이에도 중복되지 않는 IP 주소가 필요
일반적으로 4번째 블럭(32비트 중 뒤의 8비트)만 다른 형태로 대게 '1'을 지정함
예를 들어
IP 주소 : 115.95.229.196
기본 게이트웨이 : 115.95.229.1
게이트웨이와 라우터
라우터에 대한 기초적인 설명 (생략 가능)
https://kairosial.tistory.com/11
라우터 (Router) : 최적의 경로를 찾아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네트워크 장치
게이트웨이는 라우터와 비슷한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음
둘 다 다른 네트워크를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하지만 차이가 있음
게이트웨이 : 한 프로토콜을 다른 프로토콜로 변환, OSI 7계층 중 5계층
라우터 : 최적의 경로를 찾아 데이터 패킷을 전송, OSI 7계층 중 3,4계층
위 링크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해 라우터(공유기) 라고 표시했지만
엄밀히 말하면, 우리가 사용하는 공유기는
게이트웨이 역할, 라우터 역할, 방화벽 역할 등을 동시에 제공하는 종합 네트워크 장비
일반적으로는 DHCP 덕분에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 4(TCP/IPv4) 속성" 에 들어갈 일이 없겠지만
https://kairosial.tistory.com/11
수동으로 IP 주소를 설정해야 할 경우에
공유기를 사용하고 있는 일반적인 가정에서는
IP 주소 : 192.168.***.***
서브넷 마스크 : 255.255.255.0
기본 게이트웨이 : 192.168.***.1
이렇게 세팅할 확률이 높음
📝 참고
https://sjquant.tistory.com/59
https://www.router-switch.com/faq/gateway-router-difference.html
'Programming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우터(공유기), NAT, 포트, 포트 포워딩, DHCP (0) | 2021.11.12 |
---|---|
IP 주소, 공인 IP, 사설 IP, 고정 IP, 유동 IP (0) | 2021.11.12 |
[미해결] VS Code Remote-SSH (0) | 2021.1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