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 주소, 공인 IP, 사설 IP, 고정 IP, 유동 IP

2021. 11. 12. 10:02·Programming/Network

IP 주소

IP 주소 (Internet Protocol address, IP address) :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서로를 인식하고 통신하기 위해 사용하는 네트워크 상의 주소;
컴퓨터가 연결된 네트워크 끝단의 주소;
기기가 인터넷에 접속한 곳의 네트워크 상의 위치

컴퓨터는 이동식 트레일러이고, IP는 이 트레일러가 자리잡은 곳의 도로명 주소

 

 


 

공인 IP, 사설 IP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IP 주소는

IPv4, IP version 4 주소를 사용

 

192.168.123.456과 같은 형식

0.0.0.0 부터 255.255.255.255

256^4 = 약 43억개의 주소를 만들 수 있지만

이걸로는 부족하기 때문에

공인 IP, 사설 IP를 사용

공인 IP (Public IP) : 전세계에서 유일한 IP 주소;
공용 IP;
인터넷 사용자의 로컬 네트워크를 식별하기 위해 ISP(인터넷 서비스 공급자)가 제공하는 IP 주소
사설 IP (Private IP) : 내부 네트워크 안에서 사용되는 IP주소;
로컬 IP, 가상 IP;
IPv4의 주소 부족으로 인해 만들어진 IP

 

"서울시 개발구 코딩로 12 프로아파트 101동 202호" 를 IP 주소라고 한다면

 

서울시 개발구 코딩로 12 프로아파트 (지구 상에서 유일) 공인 IP
101동 202호(그 안에서만 유일) 사설 IP

 

어떤 컴퓨터들을 하나의 공통된 공인 IP에 묶어서 그 안에서만 안 겹치도록

101동 202호, 203호, 204호 ... 과 같이 사설 IP를 주면

한정된 IP를 나눠서 사용할 수 있음

(공유기를 사용하는 가정, 학교, 회사 등에서는 한 공인 IP 아래에 기기마다 사설 IP가 부여되는 식으로 인터넷을 사용)

 

사설 IP → 공인 IP 접근은 가능하지만

공인 IP → 사설 IP 접근은 불가능하다

('101동 202호' 만 주고 찾아오라고 할 수 없기에)

 

  공인 IP 사설 IP
할당 주체 ISP(인터넷 서비스 공급자) 라우터(공유기)
할당 대상 라우터(공유기) 기기
고유성 인터넷 상에서 유일한 주소 하나의 네트워크 안에서 유일
공개 여부 내/외부에서 접근 가능 외부에서 접근 불가능

 

ISP

ISP (Internet Service Provider,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 인터넷에 접속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주체;
우리나라에는 대표적으로 KT, SKT, LG U+가 있음

 

 

그렇다면 (누구든 찾아올 수 있는)웹사이트를 돌리려고 서버를 쓸 때는

외부에서 접근이 불가능한 사설 IP를 쓸 수 없지 않나?

→ 내부 IP를 포트로 연결 (포트 포워딩)

https://kairosial.tistory.com/11

 

라우터(공유기), NAT, 포트, 포트 포워딩

본 게시글은 생활코딩 Youtube를 바탕으로 네트워크를 이해하기 위한 가장 기초적인 내용을 정리한 글입니다. 라우터(Router, 공유기) 라우터(공유기) : 컴퓨터 네트워크 간에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

kairosial.tistory.com

 

 


 

고정 IP, 유동 IP

공인 IP, 사설 IP와 마찬가지로 활용할 수 있는 IP 주소에 제한이 있기 때문에 고정 IP, 유동 IP가 있음

고정 IP (Static IP) : 장치에 고정적으로 부여된 IP
유동 IP (Dynamic IP) : 장치에 유동적으로 부여되는 IP;
사용하지 않는 장치에서 IP를 수거하여 다른 사용자에게 할당해주는 방식

 

만약 집에서 서버를 운영한다고 하면 IP주소가 바뀌면 안되기 때문에

포트포워딩 말고도 DDNS라는 추가적인 조치를 진행

DDNS

DDNS (Dynamic DNS) : 수시로 바뀌는 유동 IP를 감지하여 고정된 도메인에 연결시켜주는 시스템

 

DNS

DNS (Domain Name System) : 영문이나 한글로 쓴 주소를 IP 주소로 변환해주는 시스템;
(Ex. www.example.com → 192.168.1.0)

 

 

 


📝 참고

https://www.youtube.com/watch?v=GK3h936Co-k 

출처 : 얄팍한 코딩사전 - IP주소를 알아봅시다! (Feat. 공인/사설/고정/유동IP, 포트포워딩, DMZ, DDNS) / https://www.youtube.com/watch?v=GK3h936Co-k

https://velog.io/@hidaehyunlee/%EA%B3%B5%EC%9D%B8Public-%EC%82%AC%EC%84%A4Private-IP%EC%9D%98-%EC%B0%A8%EC%9D%B4%EC%A0%90

 

공인(Public) && 사설(Private) IP의 차이점

💻➡🌏 : 사설 IP를 할당받은 스마트폰 혹은 개인 PC가 데이터 패킷을 인터넷으로 전송하면, 라우터(공유기)가 해당 사설 IP를 공인 IP로 바꿔서 전송한다.

velog.io

 

저작자표시 비영리 변경금지 (새창열림)

'Programming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IP 주소, 서브넷 마스크, 게이트웨이  (1) 2021.11.12
라우터(공유기), NAT, 포트, 포트 포워딩, DHCP  (0) 2021.11.12
[미해결] VS Code Remote-SSH  (0) 2021.11.11
'Programming/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 IP 주소, 서브넷 마스크, 게이트웨이
  • 라우터(공유기), NAT, 포트, 포트 포워딩, DHCP
  • [미해결] VS Code Remote-SSH
카이로셜
카이로셜
  • 카이로셜
    카이로스의 시간
    카이로셜
  • 글쓰기 관리
  • 전체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 Programming
        • Python
        • Linux
        • Git, Github
        • ML, Machine Learning
        • DL, Deep Learning
        • NLP
        • Computer Vision
        • Network
        • PyCharm
      • IT
        • Windows
        • Mac OS
        • Programs
        • 한글
        • Word
        • Excel
        • PowerPoint
      • Math & Statistics
      • English
      • Graduate School
      • etc.
      • Record
  • 블로그 메뉴

    • Github
  • 링크

  • 공지사항

  • 인기 글

  • 태그

    anaconda
    맥북 단축키
    클래스
    아나콘다
    윈도우11
    아나콘다 가상환경
    도커
    윈도우10
    객체
    docker
  • 최근 댓글

  • 최근 글

  • hELLO· Designed By정상우.v4.10.3
카이로셜
IP 주소, 공인 IP, 사설 IP, 고정 IP, 유동 IP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