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 주소
IP 주소 (Internet Protocol address, IP address) :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서로를 인식하고 통신하기 위해 사용하는 네트워크 상의 주소;
컴퓨터가 연결된 네트워크 끝단의 주소;
기기가 인터넷에 접속한 곳의 네트워크 상의 위치
컴퓨터는 이동식 트레일러이고, IP는 이 트레일러가 자리잡은 곳의 도로명 주소
공인 IP, 사설 IP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IP 주소는
IPv4, IP version 4 주소를 사용
192.168.123.456과 같은 형식
0.0.0.0 부터 255.255.255.255
256^4 = 약 43억개의 주소를 만들 수 있지만
이걸로는 부족하기 때문에
공인 IP, 사설 IP를 사용
공인 IP (Public IP) : 전세계에서 유일한 IP 주소;
공용 IP;
인터넷 사용자의 로컬 네트워크를 식별하기 위해 ISP(인터넷 서비스 공급자)가 제공하는 IP 주소
사설 IP (Private IP) : 내부 네트워크 안에서 사용되는 IP주소;
로컬 IP, 가상 IP;
IPv4의 주소 부족으로 인해 만들어진 IP
"서울시 개발구 코딩로 12 프로아파트 101동 202호" 를 IP 주소라고 한다면
서울시 개발구 코딩로 12 프로아파트 (지구 상에서 유일) | 공인 IP |
101동 202호(그 안에서만 유일) | 사설 IP |
어떤 컴퓨터들을 하나의 공통된 공인 IP에 묶어서 그 안에서만 안 겹치도록
101동 202호, 203호, 204호 ... 과 같이 사설 IP를 주면
한정된 IP를 나눠서 사용할 수 있음
(공유기를 사용하는 가정, 학교, 회사 등에서는 한 공인 IP 아래에 기기마다 사설 IP가 부여되는 식으로 인터넷을 사용)
사설 IP → 공인 IP 접근은 가능하지만
공인 IP → 사설 IP 접근은 불가능하다
('101동 202호' 만 주고 찾아오라고 할 수 없기에)
공인 IP | 사설 IP | |
할당 주체 | ISP(인터넷 서비스 공급자) | 라우터(공유기) |
할당 대상 | 라우터(공유기) | 기기 |
고유성 | 인터넷 상에서 유일한 주소 | 하나의 네트워크 안에서 유일 |
공개 여부 | 내/외부에서 접근 가능 | 외부에서 접근 불가능 |
ISP
ISP (Internet Service Provider,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 인터넷에 접속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주체;
우리나라에는 대표적으로 KT, SKT, LG U+가 있음
그렇다면 (누구든 찾아올 수 있는)웹사이트를 돌리려고 서버를 쓸 때는
외부에서 접근이 불가능한 사설 IP를 쓸 수 없지 않나?
→ 내부 IP를 포트로 연결 (포트 포워딩)
https://kairosial.tistory.com/11
고정 IP, 유동 IP
공인 IP, 사설 IP와 마찬가지로 활용할 수 있는 IP 주소에 제한이 있기 때문에 고정 IP, 유동 IP가 있음
고정 IP (Static IP) : 장치에 고정적으로 부여된 IP
유동 IP (Dynamic IP) : 장치에 유동적으로 부여되는 IP;
사용하지 않는 장치에서 IP를 수거하여 다른 사용자에게 할당해주는 방식
만약 집에서 서버를 운영한다고 하면 IP주소가 바뀌면 안되기 때문에
포트포워딩 말고도 DDNS라는 추가적인 조치를 진행
DDNS
DDNS (Dynamic DNS) : 수시로 바뀌는 유동 IP를 감지하여 고정된 도메인에 연결시켜주는 시스템
DNS
DNS (Domain Name System) : 영문이나 한글로 쓴 주소를 IP 주소로 변환해주는 시스템;
(Ex. www.example.com → 192.168.1.0)
📝 참고
https://www.youtube.com/watch?v=GK3h936Co-k
'Programming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IP 주소, 서브넷 마스크, 게이트웨이 (0) | 2021.11.12 |
---|---|
라우터(공유기), NAT, 포트, 포트 포워딩, DHCP (0) | 2021.11.12 |
[미해결] VS Code Remote-SSH (0) | 2021.11.11 |